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쪽같은 내새끼 130화 예고) 9달째 은둔생활 금쪽이 & 힘에 부치는 아빠

by 세실짱 2023. 1. 9.
반응형

9달째 은둔생활을 하는 금쪽이 130화 예고

지난주 금쪽같은 내 새끼 129화 "갑자기 거식 증세를 보이며 18kg가 된 10세 딸" 방영 이후에 다음 130화 "영재우등생에서 은둔생활을 시작한 중2 아들" 예고를 보았는데요~ 초등학생 때는 걱정 없이 아이들을 키우다가 중2가 되어서, 사춘기가 되어~ 아이가 많이 바뀌어서 부모님들께서 매우 낯설어하거나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ㅎ 아이들 어릴 때 받을 효도는 다 받았다는 농담 같은 이야기들이 아이들 사춘기 들어서는 시점에서 실감하기도  한다.  초등학교 때는 엄마들 모임에 나가서 자기 아이들 자랑하기 바쁘지만, 사춘기 되면 서로 자기 아이가 속 썩이는 이야기들을 앞다투어하니 거기서 동병상련? 의 위로를 받기도 하고... 하지만 130화에서 나오는 금쪽이는 가슴 아프게도 예고에서도 보이듯이 크나큰 아픔이 있었던 것 같다. 1월 13일 당연 본방 때 볼 예정이지만 그전에  자세히 들여다 보고자 한다. 

 

영재반 우등생에서 은둔생활을 시작한 중2 아들이 방에서 컴퓨터게임을 하고 있다.
금쪽같은 내새끼 130화 예고 (채널A)

 

노래도 잘하고, 공부도 잘하는 금쪽이라고 소개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혼자라고 소리치며 9달째 방에서 나오지 않는다?!! 밖은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일까?  은둔형 외톨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아버지께서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설득을 해보지만 아이는 마음을 굳게 닫아버린 듯하다. 이렇게 답답한 상황에서 아버지의 유일한 버팀목은 하늘에 있는 아내라고.. ㅠㅠ  스튜디오는 일시에 눈물바다가 된다. 도대체 금쪽이 가족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그 어느 때 보다도 절박한 상황이신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은둔형 외톨이, 히키코모리?

은둔형 외톨이는 타인에게 관심을 전혀 두지 않고 자신의 일에만 집중하는 '나 홀로 만의 문화'가 낳은 사회적인 현상이라고 한다. 특히 사회 부적응과 가정의 붕괴, 학교 내 왕따, 부모의 폭행, 인터넷 게임 중독등의 상황에 노출된 사람들에게서 빈번히 발견된다고 한다. 솔직히 사춘기 아이들 중에서 주위에 이런 친구들을 쉽지 않게 볼 수 있다. 더구나 최근에 코로나를 겪고 난 이후에 우울증 환자와 더불어 급격히 증가했다는 기사를 접한 적이 있다. 최근 5년간 은둔형 외톨이 발생 비율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기준 만 18세에서 34세 청년 중 2.13%가 은둔형 외톨이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2020년은 1.59%로 추정 됐다고 한다.  결코 남의 일 같지 않은 은둔형 외톨이.. 더구나 중년의 은둔형 외톨이는 통계조차 없다고 한다. 청년 은둔형 외톨이 지원 단체들은 중년들의 경우에도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보다 은둔형 외톨이 문제가 심각한 나라인 일본의 경우에도 이미 중년 은둔형 외톨이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2019년 아사히신문이 일본 광역자치단체인 47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일본 버블 붕괴 후에 '잃어버린 20년' 기간 동안 늘어난 은둔형 외톨이들이 이젠 중년이 되었다고 한다. 

반응형

 

히키코모리가 되는 시기는?

주로 청소년부터 젊은 성년들이 히키코모리가 되는데 히키코모리가 된 사람이 사회로 복귀하지 못한 채 중년이 되기도 한다고 한다. 사회인으로 버젓이 자립한 사람들도 시키코 모리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위에서 말했듯이 중년의 히키코모리도 늘어나고 있다고 하니 점점 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히키코모리의 생활 습관은?

보통 방이나 집에서 절대 나가지 않는 것이 히키코모리라고 생각하기도 하는데, 집이나 방에서 나가지 않는 히키코모리도 있지만, 방보기 같은 이유 등으로 외출할 수 있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그러니 이들도 사회생활은 어려와하는 경우가 있으며, 물건을 사러 나왔다가도 빨리 들어가고 싶어 한다고 한다. 낮과 밤이 바뀐 생활을 하거나, 인터넷 중독에 빠지는 등의 문제도 있을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생활 습관으로 인해 사회와의 접촉이 어려워지고 그러므로 악순환을 겪게 되는 것 같다. 

증상

자신의 삶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나, 히키코모리임을 잘 인정하려고 하지 않는다. 자신이 마주한 힘든상황에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대인 과민, 피해망상, 자기 비하, 우울감을 가지고 있고, 폭력성을 지니고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사회로의 복귀

히키코모리 스스로의 무기력함을 극복하긴 힘들다고 한다.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끼리 강제로 공동생활을 하게되면 장기간에 걸쳐 상황이 호전될 수도 있다고 한다. 부모의 적극적인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보아도 단기간에 해결되지 않으며, 엄청난 시간, 노력 돈이 들 수도 있다고 한다. 사회 복귀를 위해서는 혼자서만 생활하는 공간을 바꿔주고, 본인 스스로 희망을 발견할 수 있게 만들 방법을 찾는것이 중요 다하고 한다. 

히키코모리와 오타구와의 차이점은?

둘의 공통점은 모두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 산다는 점이 이다. 반면 히키코모리는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있는 것에 반해서 오타쿠는 자신과 취향이 같은 사람들끼리 온라인상에서나 오프라인 상에서 만나 어울리거나 친목을 형성하는 점이 차이점이라고 하겠다. 

 

반응형

댓글